GitHub는 '원격 저장소'입니다. 즉, 내 컴퓨터에서 작업하던 작업물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작업물을 저장한다는 것은 곧 레포지터리를 저장한다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내 컴퓨터의 레포지터리는 'local repository'이고, 깃허브의 레포지터리는 'remote repository'입니다. 자, 그러면 내 컴퓨터의 레포지터리를 깃허브에 저장해봅시다.
먼저, 깃허브 사이트에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합니다.
회원가입이 끝나면 'Repositories'를 클릭하고 'New'를 클릭합니다.
다음으로 원하는 이름을 짓고 public을 클릭하신 다음에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합니다. 저는 'Nothing'이라는 이름을 지어줬습니다. 참고로 Description에는 폴더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적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파일이면 어떤 프로젝트인지 정도만 적어주시면 됩니다.
파일을 생성하면 아래와 같이 뜰겁니다. 'nothing'이라는 'remote repository'가 생성 완료된 모습입니다. local과 remote repository를 연동하는 방법은 같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 나와있습니다. 그 중 저희는 아래 방법을 사용할 것입니다.
자, 그러면 local repository도 한번 만들어보겠습니다. git bash에 들어가서 워킹 디렉터리를 만들어주고 그 파일로 이동한 뒤에 초기화시켜줍니다. 참고로 뒤로 가기 명령은 'cd ..'입니다.
의미 없는 1과 2를 출력하는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적은 파일을 만들어줍니다. 설명 파일의 제목은 'README.md'로 해주세요. 이미 작성한 코드가 있다면 그 코드로 해보세요.
파일 저장은 당연히 워킹 디렉터리에 해야합니다. 여기까지 완성하셨다면 'git add .' 명령어로 staging area로 옮겨줍니다. add 다음에 띄어쓰기 꼭 하셔야됩니다! 마지막으로 커밋을 해줍니다. 커밋을 하기 전에 누가 커밋을 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깃에게 알려줘야합니다. 커밋을 할 때는 -m 뒤에 커밋 메시지를 적어줘야 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참고하세요!
다시 깃허브로 돌아가서 아래의 명령어를 git bash에 복사 붙여넣기 합니다.
무슨 말인지 모르겠지만 뭔가 잘 된 것 같습니다. 깃허브로 돌아가서 새로고침을 해봅시다.
짠!! 잘 옮겨졌네요.
한편, 깃허브에 파일을 옮겼다고 해서 local과 remote가 연동되는 것은 아닙니다. 위 과정들은 단순히 복사만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local에서 커밋이 일어나면 커밋한 내용들을 다시 remote로 옮겨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remote에서도 커밋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remote에서 local로 옮길 수도 있습니다. 명령어는 아주 간단합니다. git push/pull이 끝입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커밋 파헤치기1- 커밋 해보기 (0) | 2022.01.14 |
---|---|
[Git] 다른 사람에게 git push 권한 부여 (0) | 2022.01.14 |
[Git] 파일의 상태(status) (0) | 2022.01.14 |
[Git] Git의 3가지 작업 영역 (0) | 2022.01.14 |
[Git] 깃과 깃허브 (0) | 2022.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