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은 내부적으로 크게 3가지 종류의 작업 영역을 두고 동작합니다. 각 작업 영역의 이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working directory (작업 공간)
2. repository (저장소)
3. staging area (임시 저장 공간)
순서대로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1] Working Directory
워킹 디렉터리는 '작업을 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파일을 생성하고 수정하는 공간이죠. 그냥 폴더라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코드를 저장해놓는 폴더가 워킹 디렉터리입니다. 워킹 디렉터리 안에 있는 '.git' 파일이 Repository입니다.
[2] Repository
Repository는 Git에서 작업한 이력들을 저장하는 '저장소'입니다. 깃 저장소는 외형적으로 폴더와 유사합니다. 그래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일반 폴더와 깃 저장소를 구별 없이 모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깃 저장소는 내부 구조가 약간 다릅니다. 깃 저장소에는 별도의 '숨겨진 영역'이 있는데, 여기에 버전 관리 시스템에 필요한 파일 변경 이력을 기록합니다.
깃 저장소에 들어가서 숨긴 항목을 체크하면 '.git'이라는 폴더가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즉, 일반적인 폴더와 깃 저장소의 차이점은 숨겨진 영역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저장소를 생성하려면 초기화 작업이 필요합니다. 초기화란 숨겨진 영역을 생성하는 작업입니다. 즉 .git 폴더를 만드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기화를 하려면 Git Bash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 git init 경로명
경로명을 적지 않으면 현재 폴더에서 초기화됩니다. Git Bash에서 처음 위치는 깃을 설치했을때 설정했던 경로입니다. 원하는 폴더로 이동하려면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직접 파일로 이동해 우클릭 후 'Git Bash Here'을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터미널에서 cd 명령어로 이동하는 방법입니다.
$ mkdir 새폴더명 ------------ 새 폴더 만들기
$ cd 폴더명 --------------만든 폴더로 이동
$ cd .. --------------- 이전 폴더로 이동
[3] Staging Area
새로운 버전을 저장하려면 변경된 내용을 다른 곳에 임시로 저장해놓고, 임시 저장소에서 커밋을 하면 저장이 완료됩니다. 이렇게 임시 저장소로 보내는 작업을 'git add'라고 합니다. 스테이지는 git add를 한 파일들이 존재하는 영역입니다. 커밋을 하게되면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들만 커밋에 반영됩니다.
그런데 수정한 내용들을 staging area를 거치지 않고 그냥 바로 커밋하면 편할텐데, 굳이 staging area를 만든 이유가 뭘까요? 만약 staging area가 없다면 변경사항이 모두 커밋에 반영됩니다. 그런데 작업이 다 끝나고 어떤 부분은 커밋에 반영하고 싶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staging area가 없다면 원하는 것들만 선별적으로 커밋에 반영할 수 없게 됩니다.
세 줄 정리
1) 워킹 디렉터리에서 뭔가 작업을 하고
2) 작업한 파일들을 git add 해주고
3) 커밋을 하면 staging area에 있던 파일들이 repository에 저장되는 겁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커밋 파헤치기1- 커밋 해보기 (0) | 2022.01.14 |
---|---|
[Git] 다른 사람에게 git push 권한 부여 (0) | 2022.01.14 |
[Git] GitHub에 파일 옮기기 (3) | 2022.01.14 |
[Git] 파일의 상태(status) (0) | 2022.01.14 |
[Git] 깃과 깃허브 (0) | 2022.01.14 |